당신은 이런 기사를 본 적 있나요? “여성 전용 OO 논란, 남성 역차별 반발”… “2030 여성, 남성에 비해 더 행복하다?”… 제목만 봐도 뭔가 싸움이 날 것 같은 느낌.
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지 않나요? 도대체 누가 이런 갈등을 유도하고, 결국 누가 이익을 챙기는 걸까? 이 글에서는 이슈 중심 기사들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긴장 구조, 그리고 그 이면의 수익 구조에 대해 차분히 짚어보겠습니다.
1. '갈등 프레임'은 왜 이렇게 자주 등장할까요?
미디어는 원래부터 중립적이지 않습니다. 더 많은 클릭, 더 긴 체류 시간, 더 많은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 '반응을 이끌어내는 콘텐츠'를 우선시합니다.
▷ 갈등 구조는 감정을 자극합니다. 분노, 불안, 긴장감은 클릭률을 올리는 핵심 요인이죠.
예: “성별 임금 격차에 대한 기사”가 ‘사회 구조 문제’보다 ‘남성 vs 여성’ 갈등 구도로 재구성되면 더 많은 댓글과 공유가 발생함
※ 실제로 2024년 기준 국내 주요 언론사 온라인 기사 중 성별 갈등 프레임을 포함한 기사 비중은 평균 14~18%에 달합니다.
2. 누가 이런 갈등 구조를 설계하고 있나요?
많은 경우 이런 기사들은 기자 개인이 아니라 에디터, 기획팀, 콘텐츠 전략 부서에서 제목과 구성을 세팅합니다.
역할 기능
기자 | 팩트 수집, 인터뷰, 원자료 작성 |
콘텐츠 에디터 | 제목 구성, 본문 수정, 갈등 구조 도입 |
트래픽 전략팀 | 어떤 소재가 '싸움'을 유도할지 분석 및 추천 |
▷ 즉, 갈등성 콘텐츠는 시스템화된 제작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겁니다.
예: "남녀 출산가산점 논란" 기사들이 반복되는 이유는 단순 이슈라기보다는, 클릭률 검증된 '성별 대결 구조'이기 때문입니다.
3. 결국 누가 돈을 벌고 있을까요?
가장 직접적인 수익자는 언론사와 포털 플랫폼입니다.
▷ 수익 구조 분석
- 클릭 수 증가 → 디스플레이 광고 단가 상승
- 체류 시간 증가 → 광고 노출 회차 증가
- 댓글 수, 공유 수 증가 → 플랫폼 알고리즘 우선 노출
예: A언론사의 트렌드 뉴스팀은 ‘성별 관련 갈등 이슈’ 기사 1건당 평균 4.3배 높은 광고 수익을 기록
※ 추가로, 유튜브·쇼츠 콘텐츠 제작자들도 이슈화된 기사를 재가공하여 조회수를 수익화하는 구조로 확산되고 있어요.
4. 이렇게 소비되는 기사,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?
단기적으론 흥미롭고 자극적일 수 있지만, 장기적으로는 사회 전반에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남깁니다.
□ 젠더 갈등 프레임 고착화 → 상호 불신 확대
□ 혐오 기반 정치 세력화 → 진영 간 분열 가속
□ 사실보다 '느낌'이 지배하는 담론 환경 조성
□ 뉴스 피로감 증가 → 언론 신뢰도 저하
실제로 2024년 한국언론진흥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‘갈등 중심 기사 노출 후 피로감’을 경험한 독자가 전체의 61%에 달한다고 해요.
☑ '갈등 유도 기사'에 현명하게 대응하는 방법 체크리스트
□ 기사 제목만 보고 감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지 않은가?
□ 댓글보다 본문 데이터를 먼저 확인하고 있는가?
□ 해당 매체가 과거에 어떤 논조의 기사를 반복했는지 살펴보았는가?
□ 이슈가 아닌 ‘맥락’을 파악하고 있는가?
□ SNS 공유 전, 이 콘텐츠가 누군가에겐 자극일 수 있다는 걸 고려하고 있는가?
□ 해당 이슈의 다른 시각(국내외 사례 등)을 찾아보고 있는가?
우리는 갈등을 피할 수 없습니다. 하지만 그 갈등이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조작되고 있다면, 우리는 그 구조를 인식해야 합니다.
정치도, 언론도, 플랫폼도 때론 '싸움을 먹고 자라니까요'.
그러니 이제는, 누가 진짜 싸움을 원하는지를 먼저 봐야 할 때입니다. 그 구조에 계속된 이익이 생기지 않도록, 갈등을 조장하는 기사는 제목만으로 클릭하지 않는게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발걸음 입니다.
'이슈 - Iss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여름 패션 트렌드, 유행 트렌드를 알아봐요 (2) | 2025.04.28 |
---|---|
검사 40명 집단 사표 사태, 공수처의 기소권 요구까지… 대한민국 검찰 시스템, 어디로 갈까? (4) | 2025.04.26 |
요즘 공중파 예능이 노잼처럼 느껴지는 이유 (15) | 2025.04.04 |
“전 객실을 대피소로 열었습니다” 안동 리첼호텔의 선택, 모두가 감동한 이유 (17) | 2025.04.02 |
“시리아 로봇청소기 돌려줘” 하면 진짜 청소된다고? 아이폰만 가능한 이유는? (7) | 2025.04.02 |